썸존과 터치 포인트

터치 타깃 or 핑커터치포인트

- 손 끝으로 클릭하기 위해 유효한 터치 영역을 제공해야 한다.

- 누군 손가락이 얇고, 누군 뭉툭하기에 표준을 제시(:

 

안드로이드 : 48 x 48 dp
iOS : 44 x 44 pt

 

*최소 터치 영역의 사이즈를 48dp 적용

 

 

사용 환경 이해

- 스마트폰 사용환경과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다름

 

  1. 지하철, 버스에서 (왼손, 오른손)으로 사용
  2. 침대에 누워서 거치해서 사용
  3. 길을 걸어가며 손에 가방() 들고 사용
  4. 책상에 앉아 손으로 사용
  5. 흡연을 하거나 커피를 마시며 왼손으로 사용

- 2013년도 Steven Hoober 진행한 조사 결과

  1. 사용 : 49%
  2. 감싸기 : 36%
  3. 사용 : 15%

: 15% 제외하고는 한손으로 조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때 어느영역이 터치영역이 쉽고 어려운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수치는 10년도 정보고 스마트폰의 크기도 커지고 다양화되었기에 양손 비중이 높아졌을 가능성도 높지만, 정확한 수치에 집중하기보다는 한손으로 사용할 밖에 없는 상황을 맞닥뜨렸을 - UI 어떤 식으로 구축하는지 이런것들을 고민하는게 디자이너 입장에서 중요하다.

 

 

Thumb Zone

- 화면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하기 쉬운지 어려운지 디바이스의 스크린 화면 크기에 따라 요소의 클릭 난이도가 다르다.

- 주요한 액션 버튼은 중앙 하단에 배치하는게 클릭하기 편하다 ㅎㅎ.

대표적인 예시 : Samsung ONE UI

> 보는 영역과 인터렉션 영역을 나눠 쉽게 기능을 사용할 있도록 고안된 레이아웃.

 

폴더블 환경 접근성

: 폴더블 시장이 매우 커지고 있기 때문에 공부할 필요가 있다(:

: 닿기 다소 불편한 영역 / 닿기 편한 영역 / 닿기 어려운 영역 고려하기

 

 

제스처

- 디바이스와 인터렉션을 위해 사용되는 제스처 이해하기.

- 앱이라는 것을 실생활에서 너무 익숙하게 사용해서 딥하게 공부해본 적은 없지만- 특징과 예시, 명칭정도는 숙지하자(:

 

제스처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사용자 입장에서 의도한 대로 동작할 것이라는 믿음이 깨지면 사용자에게 짜증유발 있다🥹.

 

 

Tap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스처로, 특정 오브젝트를 탭하면 해당 기능을 동작한다.

 

Ex.

> 콘텐츠 탭하면 상세페이지로 이동.

> 장바구니 버튼을 탭하면 장바구니 페이지로 이동.

> 삭제 아이콘 탭하면 해당 요소 삭제.

> 체크박스 탭하면 체크 선택.

 

 

더블 Double Tap

: 탭을 빠르게 두번 클릭하는 것을 말하는데, 정해진 피드백은 없다.

 

Ex.

> 인스타그램에서 콘텐츠 더블 탭하면 좋아요 눌림

> 구글맵에서 더블 탭하면 지도 확대됨

> 아이폰에서 사진 더블 탭하면 사진 확대됨

 

 

프레스 Long press

: 특정 영역을 길게 누르고 있을 경우에 숨은 기능이 활성화 .

 

Ex.

> 삭제가 가능한 리스트에서 활용시 멀티 삭제 기능 노출

> 아이폰 사진 목록에서 프레스하면 복사, 공유, 즐겨찾기, 삭제 기능 노출

> 아이폰 홈에서 프레스하면 화면 편집, 제거 기능 노출

 

 

스크롤 Scroll

: 수직, 수평으로 스크롤을 통해 화면 내에 많은 콘텐츠를 있다.

*수직 스크롤은 동일한 레벨의 콘텐츠를 보거나 범주에 해당하는 내용을 사용되고, 수평 스크롤은 좁은 범주로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콘텐츠 확인할 사용함.

 

Ex. 

> 리스트 페이지 내에서 원하는 콘텐츠 탐색시

> 특정 카테고리에 있는 콘텐츠 탐색시

 

핀치 Pinch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 확대/축소하는 제스처로, 확대하는 것을 Pinch open, 모아 축소하는 것이 Pinch closed

 

Ex.

> 지도 확대/축소하여 자세한 지도 정보 얻고자

> 사진 확대/축소

 

 

드래그Drag, 스와이프Swipe, 플링Fling

 

드래그: 느리고 섬세한 제어가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대상이 화면에 있다.

스와이프 : 좌에서 우로, 우에서 좌로 넘기는 제스처

플링: 빠른 제스처로 동작하며, 속도의 임계값을 넘을 경우 동작한다.

*드래그, 스와이프, 플링은 비슷하지만 속도에 대한 기준이 다르다.

 

드래그 ex.

> 화면 내에 특정 물체를 이동시킬

 

스와이프 ex.

> 같은 레벨의 탭을 클릭하지 않고 간의 이동할

> 가장 자리 스와이프 경우 현재 화면과 별개의 콘텐츠를 호출하거나 페이지 이탈할

 

플링 ex.

> 무언가를 제거할

 

 

Pan

: 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이동하는 제스처로 전방향으로 콘텐츠를 탐험할 사용됨.

 

Ex.

> 지도 맵에서 전방향으로 탐색할

> 화면 높이나 너비보다 콘텐츠 탐색할

 

 

회전 Rotate

: 핀치와 비슷하게 손가락을 동시에 터치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기준을 변경할 사용

 

Ex.

> 지도 맵에서 방향을 전환하며 탐색할

> 네비게이션 앱에서 지도의 방향 전환

 

 

주의해야할 두가지

 

1. 특정 제스처로만 기능에 접근할 있으면 안 됨.

> 직관적이지 않은 사용성으로 화면 기능을 숨기면 된다.

> ex. 삭제 버튼 없이, 눌러야 삭제 기능 동작

 

2. 익숙한 제스처 사용해야

>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한 인터렉션이 기대하는 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불편함을 느낀다.

> OS 제스처 가이드라인 확인 필요

 

 

**머티리얼 디자인 제스처 가이드라인 살펴보기🖤

Apple Developer 사이트에서도 Touchscreen gesture 페이지가 있다. 여기에 있는 글들도 읽어보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