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Daily Growth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Daily Growth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Daily Growth

Loving you is the reason I live. That’s why every day is precious, a step toward my dreams and you.

전체 글

  • Daily Growth
Git Hooks, gitmoji-cli, 서브모듈, 그리고 README.md

Git Hooks, gitmoji-cli, 서브모듈, 그리고 README.md

2025.07.15
개발할 때 Git은 단순 버전관리 도구 이상의 역할을 한다. 자동화, 커밋 메시지 관리, 공통 모듈 유지, 그리고 문서화까지 가능하기 때문이다.이번 글에서는 Git Hooks, gitmoji-cli, 서브모듈 활용법과 README.md 작성법을 기록하고자 한다(: 📌 Git Hooks로 커밋 자동화하기Git Hooks는 Git 이벤트 발생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스크립트다.커밋 메시지 자동 작성이나 코드 스타일 검사 등에 활용 가능하다.프로젝트 폴더 내 .git/hooks 폴더를 열어보면pre-commit.sample 같은 .sample 파일들이 있다..sample 확장자를 지우면 해당 훅 스크립트가 활성화된다. 📌 gitmoji-cli로 커밋 메시지에 이모지 붙이기gitmoji-cli는 커밋 메시지에..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Git 고급 사용법 & 설정 꿀팁 총정리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Git 고급 사용법 & 설정 꿀팁 총정리

2025.07.10
개발자가 Git을 쓴다면 단순한 commit과 push만으로는 부족하다. 조금만 옵션과 설정을 다뤄도 팀 협업과 개인 생산성이 놀랍게 올라간다. 오늘은 실무에서 정말 자주 쓰는 git log 고급 사용법부터, 나만의 alias 만들기, .gitconfig 관리, dotfiles와 Gist로 팀과 공유하는 팁을 배워보았다:)git log로 커밋 내역 뽑아내기git log는 Git의 기본 중 기본 명령어다. 하지만 옵션만 잘 써도 정말 강력한 무기가 된다. 각 커밋의 변경사항까지 함께 보기git log -p-p 옵션은 각 커밋의 diff(변경 내역)를 함께 출력한다.어떤 커밋에서 어떤 코드가 추가되거나 삭제되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최근 n개 커밋만 보기git log -5-5는 최근 5개 커밋만 보여..
Git 병합 방식 : Fast-forward, 3-way, Rebase, Cherry-pick

Git 병합 방식 : Fast-forward, 3-way, Rebase, Cherry-pick

2025.07.09
📚 Git 병합 방식 정리Fast-forward vs 3-way merge + Rebase + Cherry-pick + Rebase --onto + merge --squash + Gitflow ✅ Git 병합이란?Git에서 브랜치(branch) 는 독립적인 작업 흐름이다.이 브랜치들을 다시 합치는 과정을 병합(Merge) 이라고 한다.병합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다:✔️ Fast-forward merge✔️ 3-way merge그리고 자주 헷갈리는 Rebase, Cherry-pick,브랜치 구조를 마음껏 바꿀 수 있는 Rebase --onto,여러 커밋을 하나로 합치는 merge --squash,효율적인 협업 전략 Gitflow 까지 함께 정리해보았다🥰. 1️⃣ Fast-forward 병합Fast..
Git 실수해도 걱정 없는 이유: git clean, restore, reflog, tag

Git 실수해도 걱정 없는 이유: git clean, restore, reflog, tag

2025.07.08
Git에서 실수해도 괜찮은 이유: 깨끗하게 비우고 되돌리고 태그로 관리하는 방법개발을 하다 보면 파일을 잘못 만들거나, 필요 없는 파일이 쌓이거나, 이전 상태로 되돌리고 싶은 상황이 정말 자주 온다. 이런 상황에서 Git은 꽤 든든한 도구가 되어준다. 오늘은 git clean, git restore, git reflog, 그리고 git tag를 한 번에 정리해보려 한다. 🗑️ 1. git clean — 추적하지 않는 파일 깔끔히 정리하기Git이 관리하지 않는 파일은 .gitignore에 포함되었거나, 아직 한 번도 add 하지 않은 파일이다. 이런 파일들이 쌓이면 워킹 디렉토리가 지저분해지고, 필요 없는 파일 때문에 뭔가 꼬이기 쉽다.이때 git clean을 사용하면 깔끔히 치울 수 있다.기본 문법gi..
Git amend와 rebase로 커밋 다루기

Git amend와 rebase로 커밋 다루기

2025.07.08
Git 커밋 수정--amend, SHA, dangling, reflog, gc, rebase -iGit을 쓰다 보면 커밋 메시지를 잘못 쓰거나, 빠뜨린 파일이 생각나거나, 나중에 히스토리를 정리하고 싶을 때가 무조건 생긴다.이럴 때 꼭 알아둬야 할 게 바로 git commit --amend와 git rebase -i다.하지만 둘은 헷갈리기 쉽고, 잘못 쓰면 팀원과 충돌이 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커밋 해시(SHA)부터, dangling, reflog, gc, rebase -i까지 정리해보았다(: 1️⃣ SHA — Git의 주민등록번호Git은 모든 커밋을 SHA-1 해시값으로 식별한다.SHA는 Secure Hash Algorithm의 약자다.40자리 16진수 값으로 커밋의 내용, 작성자, 부모 커밋 ..
Git Stash 적용과 Pop 차이 그리고 활용법

Git Stash 적용과 Pop 차이 그리고 활용법

2025.07.07
Git 스태시와 커밋 흐름 완전 정리 🔍 Git 작업의 세 영역Git은 파일을 관리할 때 아래 세 공간을 사용한다.1️⃣ 작업 디렉터리실제 파일이 존재하고 수정되는 공간이다.2️⃣ 스테이징 영역커밋할 변경사항만 골라서 올려두는 임시 대기 공간이다.3️⃣ 저장소(Repository)커밋된 데이터가 영구히 저장되는 공간이다. 📌 흐름작업 디렉터리 → 스테이징 영역 → 저장소변경사항은 항상 작업 디렉터리에서 시작해 스테이징을 거쳐 저장소로 이동한다. 기본 실습 흐름아래는 실제로 많이 쓰는 흐름이다. 예시 시나리오1️⃣ 파일 생성 및 수정echo "Hello Git" > hello.txt2️⃣ 변경 확인git status3️⃣ 변경 내용 상세 확인git diff4️⃣ 스테이징 영역에 올리기git add he..
Git 설정 / 전역과 로컬 설정부터 core.autocrlf / Git 단축키(alias)

Git 설정 / 전역과 로컬 설정부터 core.autocrlf / Git 단축키(alias)

2025.07.06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버전 관리 시스템인 Git🥰. Git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다양한 설정 옵션을 이해하고, 자신의 작업환경에 맞게 맞춤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은 Git 설정의 기본 개념부터, 전역(global) 설정과 로컬(local) 설정의 차이, 그리고 유용한 단축키(alias) 설정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1. Git 설정의 기본 이해: 전역 설정과 로컬 설정Git 설정은 크게 세 가지 레벨로 나뉜다.시스템 설정 (system) :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사용자와 저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 /etc/gitconfig 같은 곳에 저장된다.전역 설정 (global) : 현재 사용자의 모든 저장소에 적용되는 설정. 보통 ~/.gitconfig에 저장된다.로컬 설정 (loca..
Detached HEAD 상태란? Git에서 과거 커밋 탐색과 안전한 작업법

Detached HEAD 상태란? Git에서 과거 커밋 탐색과 안전한 작업법

2025.07.06
Git HEAD와 브랜치, 커밋 이동 그리고 reset 1. Git에서 HEAD란 무엇인가?먼저 HEAD가 무엇인지부터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HEAD는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가 가리키는 가장 최신 커밋을 뜻한다. 쉽게 말해, 내 로컬 작업 디렉토리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라고 보면 된다.예를 들어, main 브랜치가 있고, 그 브랜치에 커밋이 5개가 쌓여 있다고 하자.HEAD는 항상 현재 체크아웃된 브랜치의 최신 커밋(가장 위에 있는 커밋)을 가리킨다.내가 파일을 수정하거나 새 커밋을 만들 때,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HEAD 위치다. 2. 브랜치 이동은 git switch로 하자(복습🧚🏻)Git 2.23 버전부터는 git checkout 대신 git switch 명령어를 권장한다. switch는 브..
Git 파일 상태 추적부터 복원까지 | Reset, Restore, rm

Git 파일 상태 추적부터 복원까지 | Reset, Restore, rm

2025.07.06
Git의 3가지 공간: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 Git에는 3가지 공간이 있다. 버전 관리 시스템인 Git은 협업의 기본 도구로 자리잡았지만, 처음 접하면 add, commit, reset 같은 명령어들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Git의 구조는 왜 3단계로 나뉘는가?Git은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버전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3가지 공간으로 나누어 관리한다.1️⃣ Working Directory2️⃣ Staging Area3️⃣ Repository이 3가지 공간은 각각 역할이 다르고,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는 이 세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저장소에..
개발 입문자를 위한 버전 관리 시스템 쉽게 이해하기: Git과 SVN의 차이

개발 입문자를 위한 버전 관리 시스템 쉽게 이해하기: Git과 SVN의 차이

2025.07.05
20250704 Git, SVN, CVS 공부기록나는 현재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지만,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 개발 언어들을 공부하고 있다. 처음에는 코드를 잘 쓰는 것만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공부를 하면 할수록 코드 관리와 협업의 중요성이 훨씬 크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특히 혼자 앱을 만들어도 수정과 업데이트가 반복되면 파일이 뒤엉기기 쉽기 때문에 버전 관리 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 은 필수라는 것!🧚🏻무쪼록.. 현재시각 금요일 오후 8시. 여김없이 퇴근 후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는 시간이 와서 감사하다(: 좀더 깊게 들어가기 전, 오늘은 개발 입문자나 1인 개발자 뿐만 아니라 디자이너에게 꼭 필요한 버전 관리 시스템의 기본 개념, 그리고 Git, SVN, C..
원격 저장소 추가부터 브랜치 삭제까지: Git 핵심 명령어 모음 (git push, pull, fetch, switch, -c, -t, -u)

원격 저장소 추가부터 브랜치 삭제까지: Git 핵심 명령어 모음 (git push, pull, fetch, switch, -c, -t, -u)

2025.07.04
1. Git clone: 내 PC에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git clone은 원격 저장소(예: GitHub)에 있는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로 통째로 복사하는 명령어다.‘복제’라는 의미처럼, 원격 저장소에 있던 파일과 모든 기록을 그대로 내려받는다.예를 들어, GitHub 주소가 https://github.com/username/project.git이라면 이렇게 입력한다.git clone https://github.com/username/project.git실행 후 내 컴퓨터에는 project 폴더가 만들어지고, 그 안에 원격 프로젝트가 모두 복사된다.이제 내가 직접 수정, 추가, 삭제 작업을 할 수 있다. 2. Git fetch: 원격 저장소 최신 상태만 가져오기git fetch는 이미 복제한 저장소에서 원..
Git과 GitHub 협업 가이드: 토큰 만들기부터 충돌 해결까지

Git과 GitHub 협업 가이드: 토큰 만들기부터 충돌 해결까지

2025.07.03
현대 개발 환경에서 Git과 GitHub는 필수 도구다. 코드 버전 관리를 쉽게 하면서 협업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GitHub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토큰 생성, 원격 저장소 관리, 충돌 상황 해결 등은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ㅎㅎ.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GitHub 개인 액세스 토큰 만들기부터, 토큰을 로컬 컴퓨터에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 동기화, 그리고 협업 중 발생하는 충돌을 해결하는 방법을 기록해보고자 한다(: 1. GitHub 개인 액세스 토큰(Personal Access Token, PAT) 만들기2021년 이후 GitHub는 보안을 강화하며 계정 비밀번호 대신 토큰으로 인증하도록 정책을 바꿨다.토큰은 비밀번호처럼 GitHub..
  • 최신
    • 1
    • 2
    • 3
    • 4
    • 5
    • 6
    • ···
    • 41
  • 다음

정보

Daily Growth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Daily Growth

  • Daily Growth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492) N
      • Design History (69)
      • IT (186) N
      • Typography (13)
      • UX • UI Design (11)
      • Money (62)
      • Health (58)
      • Words (6)
      • Reading (21)
      • English (65)

    나의 외부 링크

    • Daily Growth
    • Daily World
    • lody.design
    • lody.diary

    정보

    self-improvement의 Daily Growth

    Daily Growth

    self-improvement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self-improvement.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