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빌 브로디

Neville Brody ]

 

1970년 런던 프린팅 칼리지에서 공부를 하던 브로디는 그 시대에 많은 인기를 끌던 펑크음악에 영향을 받았다. 1학년 때 그는 팝아트와 다다이즘을 주제로 소논문을 썼다. 이를 통해 그를 강하게 지배하고 영향을 준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1979년 졸업 무렵, 펑크는 퇴조를 보이고 뉴웨이브 음악이 자리를 대신했다. 졸업 후, 앨범 자켓디자인을 시작했으며 페티시 레코드사에서 클록, 23 스키두와 같은 뉴웨이브 음악 앨범 작업을 하였다. 이후 1981년, 영국 스타일 잡지 <페이스>의 아트디렉터 자리를 맡게 되는데- 이는 그가 본격적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는 계기었다. 그의 작업 스타일은 가독성보다 형태에 집착하여 해체주의적 성격을 지닌다. 예를들어 재단선 밖으로 잘려나간 표지사진, 한 기사에서 다음기사로 넘어가면서 달라지는 활자의 크기와 본문의 방향, 종종읽기 힘들 정도로 예상을 벗어나는 헤드라인의 글자같은 디자인은 영국의 그래픽 디자인에 포스트모더니즘을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는 애플 매킨토시를 사용한 초기 디자이너에 속한다.

 

이후 5년동안 다다 - 팝아트 - 펑크 - 뉴웨이브에서 영감을 얻은 도발적이고 도전적인 디자인을 보여주며 가독성은 물론, 텍스트와 이미지 관계의 한계를 벗어나는 작업을 진행했다. 

 

 

네빌 브로디는 <페이스>를 시각 표현의 정수를 펼칠 수 있는 무대로 활용했다. 잡지의 연속성에 착안하여 목차 로고를 몇 호에 걸쳐 추상적인 그림 문자로 대체하는가 하면, 지난 호에 사용한 두문자를 다음호에 재치있게 재활용하기도 했다. 또한 자신이 직접 개발한 활자체를 사용함으로써 잡지에 독특한 그래픽적 인상을 담았다. 이로써 <페이스>는 매달 '다른 얼굴'로 독자들에게 다가갔고, 그의 디자인은 단번에 젊은이들의 '스타일 바이블'이 되었다.

 

1980~90년대 혁신적인 레이아웃, 전통에 얽매이지 않은 독창적인 발상과 실험적인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으로 주목받으며 혜성처럼 등장한 네빌 브로디는 '디자인계의 이단아'로 불리는 한편 담배, 주류 등 그가 생각하는 도덕적 관념에서 벗어난 업종의 클라이언트와는 일을 하지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후에도 그는 몇몇 잡지의 아트디렉팀을 이어갔으나 <페이스>만큼의 주목은 받지 못했다. 그 중, 남성잡지 <아레나>에서 선보인 그의 헬베티카체 사용은 눈여겨볼만하다. <페이스>로 인해 생긴 아류작을 방지하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었으나, 서체의 변화만으로 잡지분위기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보여준 사례이기도 하다.

1988년 브로디는 그래픽 디자이너로서는 최초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박물관인 V&A(Victoria&Albert Museum)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동시에 자신의 작품을 소개한 책 <The Graphic of Neville Brody>를 출간했다.

 

 

1991년, 실험적인 타이포그래피 계간지 <퓨즈>를 창간했는데- 매호마다 4명의 디자이너가 서체를 제작해서 출시하는 한정판 정기 간행물이었다. 이를 통해 세계 각국의 실험적인 디자이너들을 발굴하고 소개했다. 디지털 혁명의 실체를 보여준 <페이스>로부터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이미지성을 실험했던 <퓨즈>까지- 개념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시각언어를 향한 탐구를 지속해나갔다.

 

1994년, 브로디는 자신의 회사 '리서치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브로디의 작업은 이제 전자 기술적 정보전달 전 영역에 의문과 창조어린 시각 언어 혁명에 집중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