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Daily Growth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Daily Growth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Daily Growth

Loving you is the reason I live. That’s why every day is precious, a step toward my dreams and you.

빈 분리파 : 미술과 삶의 상호교류

  • 2022.03.13 18:43
  • Design History

[ 빈 분리파 ]

 

1897년 구스타프 클림트를 주축으로 낡고 판에 박힌 사상에 더이상 의존하지 않고- 미술과 삶의 상호교류를 통해(인간의 내면적 의미를 미술을 통해) '전달하고자'하는 목적으로 결성된 예술가 집단이다. 

 

빈 분리파 혹은 비엔나 분리파라고도 불리운다. '분리하다'의 뜻인 라틴어 동사 'secedo'를 어원으로 하는 이 명칭은 아카데미즘이나 관 주도의 전시회로부터의 분리를 의미한다. 즉, 기존의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과거의 전통에서 분리되어 자유로운 표현활동을 목표를 한 미술가들이 자신들의 전람회를 기획하고 조직하기 위해서 창립한 새로운 예술가 집단인 것이다. 

 

간행물<성스러운 봄> : '베르 사크룸(ver sacrum)'으로 불리우는 최초의 그래픽 잡지

 

1897년 4월 3일 초대회장으로 클림트를 내세워,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공예가인 콜로먼 모저 - 건축가 오토 바그너와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등이 주축이 되어 결성된 빈 분리파는 1898년 1월, 간행물<성스러운 봄>을 창간하고 3월에 첫 전시회를 개최했다. 또한 동일 해에, 올브리히가 디자인한 빈 분리파 전시관을 개관했다.

젊고 재능있는 화가들을 발굴하여 전시 기회를 제공하고, 일본 미술전, 인상파 미술전 등을 통해 훌륭한 외국 작품을 소개하여 오스트리아에 새로운 예술의 기운을 불어넣었다. 특히 1902년에 개최된 제 14회 빈 분리파전에는 약 5만 8천여 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면서 빈 분리파의 위상을 실감토록 하였다.

 

요제프 호프만이 내부 디자인을 맡은 이 전시에서 클림트는 <베토벤 프리즈>를 통해 응용미술의 극치를 보여주기도 했다.

 

빈 분리파에는 특정한 예술개념이나 양식은 없었으나- 빈 분리파 전시관 입구에 새겨진 '각 세기마다 고유한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이라는 문구에서 이들이 추구한 이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들은 무엇보다 아카데미의 오랜 역사와 전통의 틀 안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했다. 따라서 예술 경향과 국적을 초월하였으며 전위미술에도 상당히 우호적이다.

 

[ 전위 미술 : 일반적 전통 예술에 반항하거나 대립하려고한 20c 초의 혁신적이고 혁명적인 새로운 정신과 그 작품 행위 내지 운동 ]

당초 인상주의와 아르부노의 영향을 받은 회화/운동에서 출발한 빈 분리파의 성과는 오히려 현대건축과 공예의 영역에서 찾을 수 있으며- 모든 건축에서 실용성과 상징주의의 조화를 추구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주거와 미학을 결합시킨 총체미술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을 통합함으로써 근대적인 국제주의 미술과 디자인이란 개념을 주창했다. 회화에서는 에곤 실레, 오스카 코코슈카, 칼 몰, 리하르트 게르스틀 등이 이에 속하는 작가들이다.

반응형

'Desig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찰스 레니 맥킨토시 : 힐 하우스 의자 / 글래스고 예술학교  (0) 2022.03.15
구스타프 클림트 : 키스 / 아델레 블로흐 바우어 (Gustav Klimt)  (0) 2022.03.14
현대 포스터의 아버지 : 툴루즈 로트렉 (Henri de Toulouse-Lautrec)  (0) 2022.03.11
쥘 세레 (Jules Chéret) : 벨에포크 시대 최고 포스터 예술가  (0) 2022.03.10
오브리 비어즐리 (Aubrey Beardsley) : 아더왕의 죽음, 옐로북, 사보이 / 탐미운동  (0) 2022.03.09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찰스 레니 맥킨토시 : 힐 하우스 의자 / 글래스고 예술학교

    찰스 레니 맥킨토시 : 힐 하우스 의자 / 글래스고 예술학교

    2022.03.15
  • 구스타프 클림트 : 키스 / 아델레 블로흐 바우어 (Gustav Klimt)

    구스타프 클림트 : 키스 / 아델레 블로흐 바우어 (Gustav Klimt)

    2022.03.14
  • 현대 포스터의 아버지 : 툴루즈 로트렉 (Henri de Toulouse-Lautrec)

    현대 포스터의 아버지 : 툴루즈 로트렉 (Henri de Toulouse-Lautrec)

    2022.03.11
  • 쥘 세레 (Jules Chéret) : 벨에포크 시대 최고 포스터 예술가

    쥘 세레 (Jules Chéret) : 벨에포크 시대 최고 포스터 예술가

    2022.03.10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Daily Growth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Daily Growth

  • Daily Growth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432) N
      • Design History (69)
      • IT (134) N
      • Typography (13)
      • UX • UI Design (10)
      • Money (62)
      • Health (53)
      • Words (6)
      • Reading (20) N
      • English (64)

    나의 외부 링크

    • lody.design
    • lody.canada
    • lody.study
    • lody.diary

    정보

    self-improvement의 Daily Growth

    Daily Growth

    self-improvement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self-improvement.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