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어린이의 세계를 대변하는 디자이너: 브루노 무나리 Bruno Munari
어린이의 세계를 대변하는 디자이너: 브루노 무나리 Bruno Munari
2022.05.06[ 브루노 무나리Bruno Munari, 1907-1998 ] 이탈리아의 미술가이자 디자이너인 브루노 무나리는 밀라노에서 출생했다. 유년기에 물과 인접한 갯벌지역에 갈대를 벗삼아 이것저것 만들며 놀았던 분이시다 ㅎㅎ. 이러한 독특한 경험들은 그가 평생을 통해 보여주었던 영감의 근원이 되었다. 무나리가 장년기와 노년기에도 유희적 정서와 센스를 고스란히 간직한 채, 60년간 모방 혹은 반복하며 경직됨없는 작업을 계속해 올 수 있었던 건 유년시절의 놀이를 통해 형성되었던 자유로운 사고 덕분이었다(: 유년시절과 소년기를 페라라 근교에서 보낸 후- 1927년 밀라노에 돌아와 미래주의 작가(시인) 필리포 톰 마소 마리네티를 만난 후 미래주의에 합류하였고 화가 칼라, 조각가 마리니 등과 교우하면서, 전위미술에 눈을 ..
막스 빌 Max Bill : 스위스 디자이너 / 포스터, 시계, 구체예술
막스 빌 Max Bill : 스위스 디자이너 / 포스터, 시계, 구체예술
2022.05.05[ 막스 빌Max Bill 1908-1994 ] 스위스의 그래픽 미술가, 산업 디자이너, 건축가, 조각가, 그리고 화가인 막스 빌은 세련되고 규칙적인 광고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에 영향을 받아 독일 최고의 디자인 학교인 바우하우스에서 건축학을 공부했으며 또한 금세공/무대설계/회화도 배웠다. 1930년 취리히에 자신의 공방을 차려놓고 광고 디자인으로 생활하면서 조각/회화/건축에 몰두했다.1944년 이후 산업 디자이너로서 활동했으며- 우아한 선과 형태를 이용하여 의자와 벽걸이 등의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작품은 수학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법칙성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실험이라는 성격을 강하게 갖고 있다. 디자인과 회화, 조각 등의 서로를 관통하는 미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 생활 환..
에밀 루더 Emil Ruder :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
에밀 루더 Emil Ruder :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
2022.05.04[ 에밀 루더Emil Ruder 1914 - 1970 ] 1914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난 에밀 루더는 식자공으로 도제 수업을 거쳐 취리히의 응용미술학교에서 수학하고 바젤 응용미술전문학교(General School of Applied Arts)에서 정식 교사로 발령을 받았다. 뉴욕의 국제 타이포그래픽 아트 센터(ICTA: International Center for Typographic Arts)의 공동 창설자다. 바젤 응용미술전문학교 학장과 응용미술박물관 관장을 역임했으며 SWB(Swiss Werkbund)의 2대 회장을 지냈다. 에밀 루더는 20세기 초 타이포그래피의 선구자들을 이끌었던 가장 근본적인 개념들이 무엇이었는지 파악하고 세대에 상관없이 유요한 타이포그래피의 법칙과 구성의 수단들을 탐색했다..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 Josef Müller-Brockmann : 그리드 시스템 Grid Systems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 Josef Müller-Brockmann : 그리드 시스템 Grid Systems
2022.05.03[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Josef Müller-Brockmann, 1914-1966 ]국제 타이포그래피 양식의 주도적 이론가이자 실천가로서 기능적-객관적인 디자인의 아버지다.1958년 지를 발행하여 스위스 모더니즘 작품을 국제사회에 소개하였으며 이로써 스위스 디자인의 영향력을 국제적으로 펼치는 계기가 되었다. 뮐러 브로크만과 그의 동료들은 산세리프체만을 사용하였고, 1957년에 나온 헬베티카(Helvetica)는 스위스 스타일을 대표하는 공식 서체가 되었다.하지만 그의 관심의 핵심은 단지 스타일에 관한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의 정신과 태도에 대한 것이었다. 그렇기에 그는 그리드 시스템이 조직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디자이너의 정신 자세를 나타내기에 적절한 도구라고 확신했다. 그리드 시스템을 주장하였으며 저서 ..
스위스 양식 : 국제 타이포그래피 스타일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
스위스 양식 : 국제 타이포그래피 스타일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
2022.05.02[ 스위스 양식 ] 1950년대 초,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스위스에 등장했으며- 그래픽 디자인의 차별화된 접근 방법이 유럽 전역에 걸쳐 대중화에 성공하면서 국제적인 양식으로 통용되었다. 스위스 양식은 국제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이라고도 불리우며 가독성과 객관성, 명확성을 강조하는 그래픽 디자인 운동이다. 산세리프 서체와 비대칭 레이아웃, 그리드 시스템의 엄격성을 적용하였으며- 왼쪽 맞춤 정렬이 중요한 요소다. 스위스 양식 선두 주자였던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과 카를 게르스트너는 바우하우스의 '타이포-포토'와 러시아의 구성주의에서 영향을 받아 사진 이미지를 즐겨 사용했다. 스위스 양식의 뿌리는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스위스 디자이너들은 얀 치홀트가 개척한 뉴 타이포그래피를 받아들였는데, 그들 ..
서체 디자인의 거장, 아드리안 프루티거 Adrian Frutiger / 유니버스체
서체 디자인의 거장, 아드리안 프루티거 Adrian Frutiger / 유니버스체
2022.05.01[ 아드리안 프루티거Adrian Frutiger, 1928 - 2015 ] 1922년 직공의 아들로 태어나 인쇄소에서 식자공(인쇄를 위한 활판에 활자를 배열하는 사람)으로 경험을 쌓으며 글자디자인에 눈을 떴던 아드리안 프루티거는 취리히 예술 공예학교 재학 중에 큰 상을 받아 이름이 알려졌다. 이 덕분에 프랑스의 활자 주조소인 '드베르니에페뇨사'에서 아트데릭터로 활동했다. IBM 타자기에서 새로운 광고용 글자꼴을 디자인할 때 조언했으며 슈템펠활자주조소 라이노타입사와 공동으로 긴밀히 작업하여 수많은 글자꼴을 새로 선보였다. 그의 대표작인 유니버스체와 프루티거체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글자가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굵기와 폭, 기울기 정도를 숫자로 표기한 체계적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고 있..
오틀 아이허 Otl Achier : 올림픽 아이덴티티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만들어낸 독일 디자이너
오틀 아이허 Otl Achier : 올림픽 아이덴티티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만들어낸 독일 디자이너
2022.04.30[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거장 : 오틀 아이허Otl Achier, 1922 - 1991 ]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비주얼 디자인 팀을 이끌며 픽토그램을 개발한 것으로 유명한 오틀 아이허. 그는 나치 운동에 반대하며 히틀러 청년단 가입을 거부한 대가로 1937년 체포되어 결과적으로 대학 시험에 실패하는 등 험난한 청년시절을 보냈다. 1946년 전쟁이 끝난 후, 뮌헤에서 조각을 공부하고 울름에 자신의 스튜디오를 열게 된다. 1950년에 아이허는 아내인 잉게 숄(Inge Scholl)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대학 설립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는 반 파쇼(fascio) 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자신의 친구들이자 아내의 동생들이며 나치에 처형당한 한스 숄과 소피 숄을 기리는 대학을 설립하고자 했다. 그의 추천으로 스..
폴 랜드 Paul Rand : 20세기 디자인 아이콘: 그래픽 디자이너 (IBM / NeXT)
폴 랜드 Paul Rand : 20세기 디자인 아이콘: 그래픽 디자이너 (IBM / NeXT)
2022.04.29[ 폴 랜드Paul Rand 1914 - 1996 ] 폴 랜드(Paul Rand)는 20세기 미국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폴란드에서 미국으로 이주해온 유대인 이민 2세대인 그는 유럽 모더니즘 원칙에 입각한 디자인으로 1950년대 이후 미국 그래픽 디자인계를 주름잡았다.그는 1930년대에 , 등 잡지의 편집 디자이너로 디자인 경력을 쌓았다. 모더니즘에 대한 확고한 지식으로 무장한 그는 미국 출판 디자인의 전통을 무너뜨렸다. 단순함, 정교함, 그리고 상상력이 풍부한 그의 디자인 스타일은 일찍부터 돋보였기 때문이다.1941년에서 1954년까지 뉴욕의 광고 대행사 바인트라우베(Weintraub)에서 아트디렉터로 지내며 콘셉트를 중시하는 뉴 애드버타이징(New Advertising) 운..
아르데코 Art Deco 양식 특징 및 배경
아르데코 Art Deco 양식 특징 및 배경
2022.04.28[ 아르데코 Art Deco ] : 파리장식 예술 박람회의 약칭에서 유래했다. 아르데코라티프(Arts Décoratifs)의 약칭이며, 1925년 양식이다. 흐르는 듯한 곡선을 즐겨 썼던 '아르누보'와는 대조적이며 기본형태의 반복, 동심원, 지그재그 등 기하학적인 것에 대한 취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 아르데코 시대의 개관 ] : 아르누보 후기에서 바우하우스 디자인이 확립되기 전까지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 미국 등에서 유행한 양식이다. : 20c 초 아르누보가 국제적인 예술 양식으로 예술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는데 예술사조가 합리성과 단순성, 그리고 구조적 기능성을 요구하게 되면서 아르데코가 태동하였다.: 아르누보가 '수공예적인 것에 의해 나타나는 연속적인 곡선의 선율을 강조'하여 공업..
레스터 빌 Lester Beall : 대담한 원색과 간결한 선을 사용한 그래픽 디자이너 / 농촌전기화계획
레스터 빌 Lester Beall : 대담한 원색과 간결한 선을 사용한 그래픽 디자이너 / 농촌전기화계획
2022.04.27[ 레스터 빌 Lester Beall ]광고 제작자와 그래픽 디자이너라는 두 분야 모두에서 국제적인 인식을 얻은 레스터 토마스 빌. 자신의 개성이 뚜렷하며 간결성을 돋보이게 했던 레스터 빌의 인쇄술을 미국과 해외에서는 모두 칭송했다. 그는 주로 대담한 원색과 화살표, 그리고 선을 사용하며 자신의 작품을 표현했는데- 동시에 그래픽 스타일 또한 자기것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레스터 토마스 빌은 미주리의 캔자스 시티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곧 미주리의 루이스 길가로 이사했으며 이후에 또 한번 일리노이의 시카고로 이주했다. 시카고의 대학에서 공부했던 그는 대학의 아모스 알론조 스태그 감독이 이끄는 대표 트랙 팀에서 활약을 했다. 더불어 시카고 예술 학교에서도 공부하기도 했던 그는 시카고에서 실험적이고 전문적..
허버트 매터 Herbert Matter : 폰트레지나 지역 관광 포스터 Pontresina / Knoll사
허버트 매터 Herbert Matter : 폰트레지나 지역 관광 포스터 Pontresina / Knoll사
2022.04.26[ 허버트 매터Herbert Matter ]스위스에서 태어난 미국의 사진작가이자 그래픽 디자이너다. 허버트 매터는 유럽의 아방가르드 운동과 얀 치홀트의 뉴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는 원색을 대단히 좋아했고, 산세리프 서체와 넓은 흰 색 여백을 즐겨 사용했으며 무엇보다 사진, 특히 포토 몽타주에 큰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관광사진을 오려 붙이는 방법으로 작업하는 것을 즐겼는데- 이렇게 하면 이미지 사이에 예기치 않은 관계가 생기고 낯선 크기와 장면의 차이에서 오는 드라마틱한 긴장감을 기대할 수 있었다. 1935년, 낯설면서도 독특한 색상을 사용해 직접 손으로 그려서 만든 매력적인 이미지의 폰트레지나 지역 관광 포스터가 이러한 효과를 잘 보여준 대..
소문자의 수호자, 헤르베르트 바이어 Herbert Bayer : 유니버설체 (Universal Typeface)
소문자의 수호자, 헤르베르트 바이어 Herbert Bayer : 유니버설체 (Universal Typeface)
2022.04.25[ 헤르베르트 바이어Herbert Bayer ] 라슬로 모호이너지와 발터 그로피우스와 마찬가지로 일생동안 수많은 작업을 남겼으며- 특히 1920년대 바우하우스 운동과 그 학교에 가장 크게 기여하신 분이다. 1900년대 바치보르쇼드(헝가리)에서 태어난 그는 1921년 바우하우스에 입학했다. 1925년 바우하우스 교수로 임용되면서 브랜딩과 아이덴티티를 가르쳤는데- 바로 그해 10월, 바우하우스의 모든 인쇄물에 소문자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소문자를 사용하는 바우하우스 서체를 디자인해달라는 그로피우스의 요청을 받고 '유니버설'이라고 스스로 이름 붙인 '이상적인 서체'도 구상했다. 그가 목표로 한 개념적 배경은 여러 상황에서 무리없이 쓸 수 있는 '범용 스타일'의 단일 서체였다. 당시 글자를 표현하는 방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