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구스타프 클루시스 gustav klutsis : 정치적 포토몽타주의 일인자 (러시아 아방가르드 디자이너)
구스타프 클루시스 gustav klutsis : 정치적 포토몽타주의 일인자 (러시아 아방가르드 디자이너)
2022.04.12[ 구스타프 클루시스 gustav klutsis ] 리가(라트비아) 태생으로 1895년에 출생한 구스타프 클루시스는 소련의 그래픽 디자이너자 예술가로서 엘 리시츠키와 더불어 러시아 구성주의(아방가르드)를 대표하는 분이셨다. 뛰어난 선전 이미지 조달자이자 정치적 포토몽타주의 일인자로 불리기도 한다. 그는 리가의 미술연구소(1913-15)에서 공부한 후, 1918년 모스크바로 옮겨 자유 예술공방(스보마스)에 들어갔다. 이 곳에서 타이포그라피와 건축에 관심이 있었는데- 특히 엘 리시츠키의 영향으로 그래픽과 포토몽타쥬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카지미르 말레비치로부터 쉬프레마티슴(Suprematism)과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아 스스로 교육에 관심을 두고 직접 참여하였다. *쉬프레마티슴 : 절대주의(선구자 ..
엘 리시츠키 el lissitzky : 러시아 구성주의 예술가 / 프로운 Prouns
엘 리시츠키 el lissitzky : 러시아 구성주의 예술가 / 프로운 Prouns
2022.04.11[ 엘 리시츠키 el lissitzky ] - 그래픽 디자이너 / 사진 작가- 학력 : 다름슈타트공과대학- 경력 : 독일 바우하우스 강사,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미술학교 교수 지칠 줄 모르는 정력과 고집의 유자인 엘 리시츠키는 그래픽 디자인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분이시다. 독일의 다름 슈타트의 공학-건축 학교에서 건축학을 공부했으며, 건축의 수학적 구조적 성질이 그의 예술의 토대가 되었다. 이 학교의 교편을 잡고 있던 말레비치에게 큰 영향을 받아, 스스로 프로운 Prouns ( '새로운 미술을 향해'의미를 지닌 '새로운 예술의 설정을 위한 계획')이라 칭한 회화 양식을 개발했다. Prouns는 '회화와 건축 간의 교차점'이라 불리웠는데 이는 건축학적 개념들을 회화와 종합하였다는 것 뿐 아니라, 프로운이 ..
라슬로 모호이너지 : 빛을 다루는 태크놀로지 예술가
라슬로 모호이너지 : 빛을 다루는 태크놀로지 예술가
2022.04.10[ 라슬로 모호이너지 Laszlo Moholy-Nagy ]1895년 - 헝가리 바츄보르슈드(Bacsborsod)에서 유대인 혈통으로 태어났다.1914년 - 부다페스트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나 제 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학업을 중단하고 포병 장교로 참전했다. 복무 중 부상으로 입원 치료를 받는 동안 시작과 드로잉에 몰두했으며- 제대 후 헝가리 문학지 등에 시를 기고하거나 살롱전에 그림을 출품하면서 법학도의 꿈을 접고 예술가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1918년 - 10월 혁명으로 헝가리에 소비에트 의회가 들어서자 공산당에 입당을 신청했다. 그러나 지주 집안의 장교 출신이라는 이유로 입당이 거절되었다. 이에 비엔나로 이주했으며 이때부터 그의 전 생애에 걸친 망명의 역사는 시작되었다.1919년 - 말레비치(Kas..
마르셀 뒤샹 : 일상의 '변기'가 '샘'으로 탄생하다
마르셀 뒤샹 : 일상의 '변기'가 '샘'으로 탄생하다
2022.04.09[ 마르셀 뒤샹 Marcel Duchamp ]현대미술을 알려면 뒤샹을 알아야 한다. 뒤샹을 모르고선 현대미술을 이해하기 어렵다.뒤샹의 업적은 '변기'를 들고 나와 제도권을 공격하고 미술시장을 깨버린 데에 있다. 예술을 속화시키고 일상을 승화시켰으면서 신성한 영역인 갤러리와 속된 영역을 혼합시킴으로써 갤러리의 '아우라'를 깨버렸다.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우리 시대의 증언이었으며- 우리의 시스템에 놀아나는 우리의 자화상을 보여준 것이다.기성품을 이용하여 오리지널리티 - 원본성 - 유일성에 입각한 한 작품성을 깨버렸다. 일상에서도 예술적인 것을 발견하는것이 예술이고 예술가이며- 조각이나 회화도 아닌 새로운 장르인 설치미술의 개념을 열었다. 현대는 개념의 시대, 컨셉츄얼 아트의 시대인 것이다. 우리가 예술가..
바우하우스 Bauhaus :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통합
바우하우스 Bauhaus :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통합
2022.04.08[ 바우하우스 ] 바우하우스는 1919년 독일 바이마르에서 설립되었으며 나치에 의해 강제 폐교되기 전까지 약 14년간 존속된 새로운 형태의 예술교육기관이다. 이름부터 특이한 바우하우슨 분명 기존의 학교와는 다른 교육이념- 커리큘럽을 갖고 출발한 그야말로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었다. 여기엔 바우하우스 구상에서부터 교육프로그램과 교수진 선정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총괄한 초대 학장 발터 그로피우스의 역할이 지대했다. [ 과거의 건축정신을 되살리려는 노력 ] 그로피우스가 볼 때, 건축의 공업화 역시 시급한 문제였다. 더욱이 제 1차 세계 대전 직후, 패전국가 독일 내 주택단지 건설에 대한 높은 기대와 요청은 이에 확신을 더해주었을 것이다. 그는 양질의 합리적이고 경쟁력 있는 주택이 공급되기 위해선- 예술과 ..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 /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롯첸코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 /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롯첸코
2022.04.07[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Vladimir Mayakovsky ] 20c 초 러시아 미래주의 대표시인으로 라는 미래주의 선언문을 담은 출판물을 발간한다. 그의 선언문은 그때까지 모범적 모델로 제시되어 온 모든 예술적 전통을 과감히 때려부수자는 과격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 마야코프스키 포스터 ] [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롯첸코Alexander Rodchenko ] 알렉산드르 롯첸코는 러시아의 디자이너이자 예술가로서 사회주의에 영향을 받아 선전 미술 분야에서 활동하신 분이다. 특히, "예술을 삶으로 전이시키는 작업을 더 잘 이행하기 위해 인쇄술과 산업 디자인 분야로 관심을 돌렸다. 1923년 마야코프스키가 창간한 '레프'지의 표지와 레이아웃을 그렸으며,마야코프스키의 시집 를 위해 포토몽타주(Photo..
카지미르 말레비치 Kazimir Malevich : 절대주의 창시자 / 러시아 아방가르드
카지미르 말레비치 Kazimir Malevich : 절대주의 창시자 / 러시아 아방가르드
2022.04.06[ 카지미르 말레비치 Kazimir Malevich ] 미래주의와 입체주의를 포함하여 다수의 유럽 미술 운동들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을 제작한 러시아 화가다.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의 독특한 양식으로 유럽 추상미술의 발전에 중대한 공헌을 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1915년, 말레비치는 순수한 단색의 배경 위에 원이나 사각형, 혹은 십자형 등의 기본적인 기하학적 형태만을 남겨두고- 이를 제외한 인식 가능한 형상의 흔적들을 모두 제거했다. 이로써 말레비치는 그가 '쓰레기로 가득 찬 연못'이라 여겼던 아카데미 미술로부터 해방된 형태를 창조해 낼 수 있었다. 흰 바탕 위에 검은 사각형 하나 만을 그린 단순한 기하학적 구성의 절대주의 작품으로, 마치 러시아 정교화의 가정에 걸리는 종교적인 성상처럼- 전시장 한 쪽..
존 하트필드 John Heartfield : 포토 몽타주
존 하트필드 John Heartfield : 포토 몽타주
2022.04.05[ 존 하트필드 John Heartfield ] 독일 태생의 다다이스트(다다이즘에 속하는 예술가)로 본명은 헬무트 헤르츠펠데다. 1918년 조지 그로스, 라울 하우스만, 한나 회흐 등과 베를린 다다를 결성했다. 베를린 다다이스트들은 신문과 잡지 등에서 이미지와 텍스트를 오려내어 무질서하게 배열하고 합성하는 기법을 즐겨 사용했는데- 이는 기존의 예술개념을 파괴하고 새로운 예술 형식을 창조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는 독일 공산당 창단 멤버로도 활동했으며, 냉혹한 정치적 발언을 담은 (나치 독일을 비판하는 정치적 저항 수단으로) '포토몽타주'를 만들기 시작했다.나치 독일의 아이러니를 풍자하고 비판하기 위해 이미지를 조작했으며, 이미지의 모호함을 극복하기 위해 텍스트를 삽입했다. 그의 작업은 히틀..
필리포 마리네티 : 미래파 선언
필리포 마리네티 : 미래파 선언
2022.04.04[ 필리포 마리네티Filippo Tommaso Marinetti 1876 ~ 1944 ] 이탈리아의 소설가이자 시인이다.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출생하였다. 초등교육은 이집트에서 받은 반면- 중등교육은 파리에서, 그리고 스위스 제네바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1909년 2월 20일 파리의 지에 을 발표했으며, 미래주의 운동의 가치를 올렸다. 과거 전통에서 벗어나 모든 해방을 목표로 하는 '미래주의' 운동을 창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의 소설 작품으로 , 스피드와 전투를 예찬한 등이 있다. 그가 제창한 미래파 운동은 문단에서보다 미술계, 특히 회화나 조각 분야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1910년 2월 밀라노에서의 '미래파 화가 선언', 동년 4월 '미래파 회화의 테크닉 선언'등이 그것이다. 그는 예술이 과거를..
미래주의 Futurism
미래주의 Futurism
2022.03.30[ 미래주의 Futurism ] 미래파라고도 불리우는 미래주의 운동은 전통을 부정하고 기계문명이 가져온 도시의 약동감과 속도감을 새로운 미로써 표현했다. 이 운동은 1909년 시인 F.T. 마리네티가 프랑스의 신문 '르 피가로(Le Figaro)'에 을 발표한 것이 시작이다. 이 선언에서 마리네티는 과거의 전통과 아카데믹한 공식에 반기를 들고 무엇보다도 힘찬 움직임을 찬미했다. 이러한 경향은 전쟁을 찬미하기도 하고- 미술관이나 도서관을 묘지로 단정, 그 파괴운동을 벌일 정도의 과격한 것이었다. 같은 시기에 전개되었던 입체주의와 마찬가지로, 시점을 고정시키지 않고- 복수의 시점에서 움직임을 파악하려고 했다. 예컨데, "질주하고 있는 말의 다리는 4개가 아니라 20개이다."라고 주장했으며- 잔상에 주의하면..
입체주의 운동 : 사실주의적 전통에서 해방된 회화 혁명
입체주의 운동 : 사실주의적 전통에서 해방된 회화 혁명
2022.03.28[ 입체주의 운동 Cubism ] 20세기 가장 중요한 예술 운동 중의 하나로서 1900~1914년 파리에서 일어났던 미술혁신운동이다. 유럽 회화를 르네상스 이래의 사실주의적 전통에서 해방시킨 회화 혁명으로 지칭한다. 1908년 마티스가 브라크의 연작을 평하면서 '조그만 입체(큐브)의 덩어리'라고 말한데서 유래되었다. 피카소가 을 발표함으로써 급격히 발전한 이 운동은 일반적으로 세잔느 풍의 입체주의 - 분석적 입체주의 - 종합적 입체주의 등 3단계로 나누어 고찰될 수 있다. '자연을 원추 - 원통 - 구에 따라 취급한다'는 세잔느의 말은 입체주의의 계시가 되었으며, 그의 예술과 흑인 조각은 이 운동의 초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입체주의는 르네상스 이후 서양회화의 전통인 원근법과 명암법, 그리고 다채로..
데 스틸 De Stijl 운동 : 신조형주의
데 스틸 De Stijl 운동 : 신조형주의
2022.03.27[ 데 스틸 De Stijl ] 1917년에 결성된 네덜란드의 예술인 디자인 조형 운동이다. 화가 테오 반 뒤스부르크가 리더가 되어 피에트 몬드리안(Peit Mondrian), 오우드(Oud), 게리트 리브벨트(Gerrit Rietveld) 등을 중심으로 건축가 - 화가 - 조각가 등의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데스틸 그룹을 결성했으며 동일명의 잡지 '데 스틸'을 파리와 라이덴(네덜란드 남부 도시)에서 발간하여 이론화했다. [ 데 스틸 특징 ] 수평선과 수직선에 의한 화면구성과 강렬한 3원색 및 무채색이 특징인 데 스틸은 입체파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이 그룹은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를 강력히 옹호했으며 새로운 조형예술운동을 전개하는데 앞장섰다. 참가한 이들을 보면 알 수 있듯- 데 스틸 운동은 단순히 회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