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 사태 / 현금흐름
서브프라임 사태는 2007-2008년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를 말한다. 이 사태는 부실한 주택담보대출로 인해 시작되어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큰 충격을 주었고, 이후 세계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refers to the financial crisis that occurred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2007 and 2008. This crisis began due to faulty mortgage loans and had a massive impact on the global financial system, subsequently affecting the world economy significantly.
[ 배경 ]
- 주택 시장 붐: 2000년대 초반 미국에서는 주택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며 주택 시장이 활황을 맞음. 이는 주택담보대출을 통한 투자 수요와 낮은 금리 정책 덕분에 가능했다.
- 서브프라임 모기지: 신용도가 낮은 차입자들에게 제공된 주택담보대출. 이런 대출은 상환 불이행 위험이 높기 때문에 '서브프라임'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대출 기관들은 높은 이자를 부과하여 이런 위험을 상쇄하려 했다.
[ Background ]
- Housing Market Boom: In the early 2000s, housing prices in the U.S. surged dramatically, leading to a booming housing market. This was made possible by the demand for investment through mortgage loans and low-interest rate policies.
- Subprime Mortgages: These were mortgage loans offered to borrowers with low creditworthiness. Such loans carried a high risk of default, hence the name 'subprime.' Lenders charged high-interest rates to offset these risks.
[ 사태의 전개 ]
1. 대출 남발: 은행과 금융기관들은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에게도 쉽게 대출을 해주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주택을 구매했고, 주택 가격은 계속 상승함.
2. 파생상품: 금융기관들은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MBS, CDO 등)을 만들어 판매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약속하며 인기를 끌었다.
3. 금리 인상: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하면서, 많은 서브프라임 대출자들이 이자 상환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 -> 대출 연체율이 급격히 증가함.
4. 주택 시장 붕괴: 주택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을 갚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났으며 이는 대출기관과 파생상품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안겼다.
5. 금융기관 파산: 리먼 브라더스(Lehman Brothers) 같은 대형 투자은행이 파산하고, AIG 같은 거대 보험사도 큰 손실을 입었다. 이는 금융시스템 전체에 불안을 야기.
[ Development of the Crisis ]
1. Over-lending: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began to offer loans easily, even to those with poor credit scores. As a result, many people purchased homes, causing housing prices to continue rising.
2. Derivatives: Financial institutions created and sold derivatives (MBS, CDO, etc.) based on subprime mortgages. These products promised high returns and gained popularity among investors.
3. Interest Rate Hike: When the Federal Reserve raised interest rates, many subprime borrowers struggled to meet their interest payments, leading to a sharp increase in loan defaults.
4. Housing Market Collapse: As housing prices began to fall, more people defaulted on their mortgage loans. This led to significant losses for lenders and investors in derivatives.
5. Bank Failures: Major investment banks like Lehman Brothers went bankrupt, and large insurance companies like AIG suffered huge losses, causing instability in the entire financial system.
[ 결과와 영향 ]
- 금융위기: 은행들 간 신용 경색이 발생하고, 많은 금융기관들이 파산하거나 정부의 구제를 받음.
- 글로벌 경제 침체: 미국 금융 시스템의 붕괴는 전 세계로 퍼져나가 글로벌 경제 침체를 일으킴. 많은 국가들이 경기침체와 실업률 상승을 겪게됨.
- 규제 강화: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금융규제가 강화되었다. ex. 미국에서는 도드-프랭크 법(Dodd-Frank Act)이 통과되어 금융기관의 위험한 행위를 방지하고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짐.
서브프라임 사태는 금융시장과 글로벌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이후 금융위기 대응책과 규제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 Results and Impact ]
- Financial Crisis: A credit crunch occurred between banks, leading to the bankruptcy of many financial institutions or their need for government bailouts.
-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 collapse of the U.S. financial system spread worldwide, triggering a global economic recession. Many countries experienced economic downturns and rising unemployment rates.
- Regulatory Strengthening: After the subprime crisis, financial regulations were tightened. For example, in the U.S., the Dodd-Frank Act was passed to prevent risky behaviors by financial institutions and to strengthen the stability of the financial system.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was a significant event that impacted both financial markets and the global economy. It highlighted the necessity for improved crisis management and stricter regulations in the financial sector.
부자들의 음모 기록 - 로버트 기요사키 기록 6. The Conspiracy of the Rich - Robert Kiyosaki 6.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누리고 싶다면, 현금흐름을 통제하는 법을 배우고 전 세계적으로 직업과 사람과 돈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그 흐름을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사업은 물론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가 ‘현금흐름’이다. 세계의 캐시플로를 얻디 귀해서는 다음 세 가지를 잘 관찰해야 한다.
1. 일자리
일자리를 찾아 국경을 넘는 일이 갈수록 빈번해지고 있다. GM이 파산하자 디트로이트에서는 수많은 일자리가 사라졌다. 이것은 곧 디트로이트 경제가 무너진다는 뜻이다.
2. 사람
사람들은 대개 일자리가 있는 곳을 향해 움직인다. 사람들이 빠져나가는 곳이 아니라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에 투자해야 한다.
3. 현금
베트남에서 과일 장수가 피아스터를 달러로, 달러를 금으로 바꾼 것은 세계 어디서나 쓸 수 있는 돈을 갖기 위한 것이었다. 지금도 이런 일이 수없이 일어난다. 주식시장이 폭락한 것은 현금이 주식시장에서 빠져나와 저축, 채권, 금, 또는 집 안의 금고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To achieve economic stability, it's essential to learn how to control cash flow and understand the global movement of jobs, people, and money. In both business and investing, 'cash flow' is the most crucial term. To grasp the global cash flow, you need to observe the following three things closely:
1. Jobs
People are increasingly crossing borders in search of jobs. When GM went bankrupt, countless jobs disappeared in Detroit, signaling the collapse of the city's economy.
2. People
People generally move to where the jobs are. Invest in places where people are flocking to, not where they are leaving.
3. Cash
In Vietnam, a fruit vendor exchanged piastres for dollars and then dollars for gold to hold a universally accepted currency. Such exchanges happen frequently around the world. When the stock market crashes, cash flows out of stocks into savings, bonds, gold, or even home safes.
< 스스로 돈을 찍어내라 >
빚을 이용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우리가 부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다. 빚도 현금 흐름처럼 훌륭한 금융수단이 될 수 있다.
최근 시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득세하고 있지만 공황의 유령은 여전히 금융세계를 떠돌고 있다. 나는 미국은 물론 세계경제가 나아질 거라고 낙관하지 않는다. 물론 공황이 오기를 바라는 것은 결코 아니다. 제정신인 사람이라면 누가 대공황이 오기를 원하겠는가? 하지만 지금의 경기 후퇴는 공황으로 계속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으며, 그렇다면 지금부터 준비를 해야 한다. 공황은 모든 사람들에게 나쁜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나의 부자 아빠와 가난한 아빠는 대공황 시절 초등학교를 다녔다. 그 때 경험은 두 사람의 삶의 행로를 완전히 바꿔놓았다. 한 사람은 대공황 시기에 배운 교훈으로 엄청난 부자가 되었고, 다른 한 사람은 평생토록 가난하게 살았다.
< Generate Your Own Money >
Learning to leverage debt is one of the most critical skills for becoming wealthy. Debt, like cash flow, can be a powerful financial tool.
Despite recent optimistic market forecasts, the specter of depression still looms over the financial world. I am not optimistic about the future of the U.S. or global economy. Not that I wish for a depression—no sane person would. But the current recession could slide into a full-blown depression, and we must prepare for that. Depressions aren’t bad for everyone.
< 가난한 아빠의 공황 >
나의 가난한 아빠의 아버지, 즉 할아버지는 사업가였다. 사업체를 운영했으며 하와이 마우이 섬 해변에 어마어마한 부동산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대공황이 닥치면서 모든 것을 잃었다. 가족의 생계비조차 댈 수 없는 상황이었다. 순식간에 모든 것을 빼앗아간 대공황은 아빠에게 엄청난 충격이었다. 나의 가난한 아빠는 안정적인 직업이 최고라고 믿게 되었다. 사업이나 투자 따위에는 눈도 돌리지 않았다. 할아버지가 그 많던 주식과 부동산을 한순간에 잃는 것을 보았으니, 믿을 게 못 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가난한 아빠에게 ‘안정성’은 ‘부’보다 훨씬 중요했다. 아버지는 공황에 대한 기억을 평생 간직한 채 살았다.
< 부자 아빠의 공황 >
나의 부자 아빠는 대공황 이전에도 그리 잘살지 못했다. 그의 아버지는 병으로 고생하다 공황이 시작되고 얼마 안돼 돌아가셨다. 그래서 부자 아빠는 어린 나이에 가장이 되어 생계 전선에 뛰어들어야 했다. 배운 것도 없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았다. 10대 소년이었던 부자 아빠는 가족이 운영하던 가게를 물려받아 기업으로 키워보기로 했다. 부자 아빠의 가족은 먹고살기 위해 바둥거렸지만, 정부의 지원도 복지 혜택도 받지 못했다. 공황은 나의 부자 아빠를 더 빠르게 성장하도록 했고, 돈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일깨워주었다. 공황을 겪으면서 몸소 익힌 교훈이 그를 부자로 만들어주었다.
< Poor Dad's Depression >
My poor dad's father, my grandfather, was a businessman who owned vast property on the beach in Maui, Hawaii. But the Great Depression took everything from him, leaving him unable to support his family. This traumatic experience taught my poor dad that a stable job was paramount, deterring him from business or investing. Having seen his father lose vast amounts of stocks and real estate in an instant, he valued security far more than wealth and carried the scars of the depression for life.
< Rich Dad's Depression >
My rich dad wasn't well-off before the Great Depression. His father died shortly after it began, forcing him to become the breadwinner at a young age. With little education, he took over the family store and aimed to grow it into a successful business. The depression accelerated his learning curve about money, teaching him valuable lessons that eventually made him wealthy.
< 부자만을 위하는 사회주의 >
나의 가난한 아빠는 학교에서는 공부 잘하는 학생이었지만, 거리에서는 스스로 살아남지 못하는 숙맥이 되었다. 정부가 어려운 사람들을 돌봐야 한다고 생각했고, 점점 사회주의자가 되어갔다.
나의 부자 아빠는 학교를 제대로 나오지 않았지만, 거리에서는 아주 현명한 사람이었다. 가족들과 직원들을 위해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기업을 만들어야겠다고 당찬 포부를 품었다. 사람들 스스로 자기 자신을 책임질 줄 알아야 한다고 믿었다. 정부가 사람들에게 물고기를 주기보다는 낚시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믿었다. 점점 자본주의자가 되었다.
지난 공황 시절에는 사회주의가 득세했다. 정부는 대규모 복지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행했다. 사람들에게 낚시하는 법을 가르치기보다는 물고기를 나눠주었다. 심지어 부자들에게도 나눠줬다. 미국이 진정한 자본구의 국가였다면 정부는 경제가 망하도록 놔두어야 했다. 경제를 지탱하기 위해서 구제금융을 투입하고, 또 그 위에 구제금융을 쏟아 붓지는 않았을 것이다. 주가 폭락, 시장 붕괴, 공황은 경제가 더 이상 발전할 수 없을 때 모든 것을 무너뜨리고 새롭게 시작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경기 호황기 동안 발생한 실수와 범죄를 죄다 드러냄으로써 잘못된 것을 고치도록 만드는 경제의 리셋버튼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경제에는 리셋버튼이 작동하지 않는다. 아무리 실수를 해도, 범죄를 저질러도 그 대가를 치르지 않는다. 결국 무능한 사람들, 사기꾼들,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진 바보들이 구제금융이라는 이름으로 국민의 세금을 수조 달러씩 잡아먹으며 기득권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
약세장은 이전의 강세장에서 벌어진 실수, 사기, 탐욕, 비효율성을 깨끗이 청소해버리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정부는 약세장이 스스로 해소되기를 기다리지 않고, 은행에 돈을 풀어 구제금융이라는 이름으로 손실을 보전해주고 있다. 세상을 부정한 빚더미 속에 허덕이게 만든 바로 그 장본인들, 경제를 망친 탐욕의 무리들, 감옥에 처넣어야 하는 그 기업들과 은행들에게 돈을 퍼주는 것이다.
좋은 시절을 누리며 탐욕과 사치와 방만함으로 뒤룩뒤룩 살이 찌고 게을러 터진 GM과 같은 회사에게 불황이 닥쳐 살아남기 힘들다는 이유만으로, 쟁쟁한 외국 회사들과 경쟁할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정부는 돈을 퍼준다. 무능한 기업은 시장에서 퇴출되는 경제의 자연스러운 현상이 작동하지 않게 된 것이다. 구제금융을 받은 회사의 경영진은 수천명의 직원을 해고하고 난 뒤, 엄청난 보너스와 퇴직금을 챙겨 회사를 떠난다. 정부의 도움으로 기사회생한 기업은 다시 기업활동을 재개하면서 또 한 번 투자자들을 희생양으로 삼는다.
이것은 자본주의가 아니다. 구제금융을 쏟아 붓는 정부는 사회주의다. 그것도 진정한 사회주의가 아니라 ‘부자만을 위한 사회주의’다. 지금 우리가 사는 사회는 카를 마르크스가 꿈꾸던 공산주의보다 훨씬 질이 나쁜 체제다. 적어도 공산주의는 모든 사회제도를 ‘보통 사람들을 위해’ 운영한다는 숭고한 가치라도 추구한다. 무엇보다도 공산주의는 부자들의 돈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재분배하라고 설교하지 않는가? 그것을 제대로 실행하느냐 마느냐는 별개로 치고 말이다.
하지만 지금의 경제 시스템은 구제금융이라는 명목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서 뜯어낸 세금을 부자들에게 마구 퍼주고 있다. 이것은 일시적인 문제가 아니다. 거대 부자들의 현금 강탈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왔다. 거대 부자들이 정부를 조종하여 중산층과 빈민층의 주머니를 강탈하여 자기 주머니를 채우는 행태는 우리 사회의 공공연한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다.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뼈 빠지게 일하는 보통 사람들에게는 가차 없이 높은 세금을 매기고, 탐욕스럽고 부정직한 사기꾼들, 무능한 도박꾼들, 놀고먹는 게으른 인간들에게 세금을 퍼주는 경제 시스템이 작동하는 사회에 우리는 살고 있다.
< Socialism for the Rich >
My poor dad, academically successful but naive in the real world, believe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ose in need and became increasingly socialist. On the other hand, my rich dad, who received little formal education, believed in self-reliance and became a capitalist, aiming to create stable, profitable businesses for his family and employees. He believed people should be taught to fish rather than be given fish by the government.
During the last depression, socialism became more prominent, with the government implementing extensive welfare programs, giving away fish rather than teaching fishing. Even the rich received aid. In a true capitalist society, the government would have let the economy collapse to reset and correct itself rather than injecting bailout funds. A market crash is a natural reset button, exposing mistakes and crimes from the boom period, but today's economy doesn’t allow for that. The incompetent and corrupt continue to consume vast amounts of taxpayer money under the guise of bailouts.
A bear market clears out the excesses, mistakes, and frauds of the previous bull market. However, the government intervenes by injecting money into banks, compensating for losses with bailouts. It perpetuates a system where the greedy and corrupt thrive at the expense of the hardworking taxpayer.
This isn’t capitalism. Bailing out failing companies like GM isn't capitalism; it's socialism for the rich. This system, worse than Marx's communism, redistributes wealth from the poor to the rich. True communism at least preaches wealth redistribution from the rich to the poor.
Today’s economic system robs the poor through taxes to enrich the wealthy. This issue isn’t temporary; it’s a longstanding practice. The wealthy manipulate the government to funnel money from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into their own pockets. Our society taxes the hardworking producers of goods and services while subsidizing the lazy and corrupt with their tax dollars.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내가 믿는 만큼 성과를 낸다. (2) | 2024.06.19 |
---|---|
디플레이션 or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공황 (0) | 2024.06.18 |
잔잔한 호수처럼 윤슬이 반짝거린다 (2) | 2024.06.16 |
너를 향한 내 모든 행동들과 생각들 (1) | 2024.06.15 |
마음속으로 그리면 반드시 이루어진다. (0) | 2024.06.1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나는 내가 믿는 만큼 성과를 낸다.
나는 내가 믿는 만큼 성과를 낸다.
2024.06.19 -
디플레이션 or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공황
디플레이션 or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공황
2024.06.18 -
잔잔한 호수처럼 윤슬이 반짝거린다
잔잔한 호수처럼 윤슬이 반짝거린다
2024.06.16 -
너를 향한 내 모든 행동들과 생각들
너를 향한 내 모든 행동들과 생각들
2024.06.15